|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지리구여~
|
※ 이 글은 매우 개인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밝힙니다. 고로 태클은 댓글로!
안녕하세요~ 김지림이에요.
▲ 데드바이데이라이트는 이런 게임입니다. (동영상)
최근 제가 열심히 플레이하고 있는 게임이 있는데, 바로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Dead By Daylight, 줄여서 <데.바.데>)죠. 아마 오버워치 고급시계를 열심히 플레이하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나머지 게임들 중에서도 방송으로 꽤 인기가 좋은 게임으로 알고 있어요.
▲ 고통의 시작... 환영합니다.
저는 이제 데바데 플레이 타임 50시간을 채워가는 유저로 이 정도 플레이를 했으면, 어떤 소감을 남겨도 불만을 가지는 사람은 없겠죠? 물론 장점과 단점을 단디 읇어볼 예정이구요. 장점과 단점은 사람들이 데바데에 가지는 이슈 위주로 개인적인 의견을 남겨볼게요. 그럼 우선 데바데가 어떤 게임인지 살펴보죠!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가 뭐야? |
|
게임명 |
Dead By Daylight | 제 작 사 | Behaviour Digital Inc. | 한 글 패 치 | 없음 |
|
장 르 |
호러, 스릴러 |
싱글플레이어 |
X |
멀티플레이어 |
O |
|
언 어 | 영어 및 기타 외국어 | 협동(Co-op) | O | 로 컬 협 동 | X |
▲ 4명의 생존자와 보이지 않는 하나의 살인마...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는 하는 사람과 보는 사람 모두 심장마비가 걸릴만한 소재로 만들어진 게임이에요. 살인마에게 쫓기는 생존자, 사느냐 죽느냐 당신의 컨트롤에 달려있다! 라는 게임이죠. 그런데, 재밌는 것은 살인마까지 플레이어가 플레이 하도록 만들었다는 점이죠.
▲ 점점 살인마의 심리를 이해하는.. 소오오오름...!!
이는 마치 또 다른 하나의 게임을 연상하게 만드는데, 바로 이볼브(Evolve)라는 게임을 매우 닮았어요. 이볼브라는 게임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괴수 한 마리와 사냥꾼 4명의 싸움을 게임으로 만든거죠. 일반 RPG 게임의 보스전에 보스까지 유저로 만든 게임이 바로 이볼브에요. 그런데, 데바데 역시 이볼브와 마찬가지로 살인마를 유저가 플레이해요.
▲ 비슷한 느낌 다른 고통... 이볼브...!
다만 이볼브는 괴수(보스)가 사냥꾼들을, 다수가 소수를 쫓는 형국이라면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는 사람들이 살인마에게, 다수가 소수에게 쫓기는 양상을 띠고 있다는 거죠. 비슷한 설정의 게임이지만, 구도를 바꾸면서 전혀 새로운 게임이 탄생했네요.
"분위기와 스토리"? |
|
외국 게임은 대부분 스토리를 중요시 여깁니다. 최근 아주 가벼운 인디게임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게임들은 모두 스토리를 가지고 있죠.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메뉴얼(☜링크)을 참고하시죠.
▲ 친절하게 튜토리얼부터 메뉴얼까지 다 있습니다. 메뉴얼 문제는 영어.. -_-
시대적 배경은 근현대입니다. 1956년, 여름 어떤 한 사람 (아마 마을에 갖혀버린 생존자 한 명으로 추측)의 기록을 토대로 짧은 <데.바.데>의 스토리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저는 구글 번역기를 돌려 짧게나마 스토리를 숙지했는데,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가 약해서 제대로 알고 계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ㅋ)
한 때는 광산 등으로 거대한 산업 지구를 형성했던 곳이 철광석이 부족해지면서 단번에 유령도시가 되었고, 악이 감도는 장소(어둠의 의식)이 바이러스처럼 확산되면서 남아있던 영혼들은 끊임없이 같은 곳을 맴돌 게 되었다는 것이죠. 이곳에선 죽는 것은 죽는 게 아닙니다...
장점과 단점 |
|
출시 한 달도 안된 게임을 45시간 플레이 했습니다. 물론 생존자 위주의 플레이였기 때문에 살인마를 온전히 이해한 상태는 아니지만, 그래도 게임에 대한 평가는 가능할 것 같네요. 그럼 게임을 방송하면서 시청자들과의 대화에서 느꼈던 <데.바.데>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살펴봅시다.
단점
1. Co-op(협동) 요소, A.I의 부재
A.I의 부재를 단점으로 꼽은 이유는 우리가 친구들과 함께 게임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부터 시작합니다. 심오하죠? 단순하게 생각하자면 살인마라면 둘 다 살인마로, 생존자면 둘 다 생존자로 서로 도와가며 살아가는 짜릿함을 느끼고 싶어서 함께하는 것 아닐까요?
하지만, <데.바.데>에는 그런 요소적인 부분이 상당히 아쉽습니다. 일단 랭크 게임은 일단 친구 초대가 안됩니다. 저는 부르기 쉽게 친선전, 랭킹전으로 부르는데 친선전은 친구를 초대해서 함께 할 수 있으나 포인트(게임머니), 랭크포인트가 쌓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랭킹전은 퀵매치 시스템만 존재하는데, 방이 랜덤으로 들어가집니다. 따라서 운이 좋다면 퀵매치를 돌리다가 친구와 마주칠 수 있지만, 그런 상황은 잘 오지 않아요.
따라서 친구와 함께 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를 보유한 5명의 플레이어를 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설마... 아무리 친구라도 살인마와 1 대 1로 싸우고 싶은 마음은 없겠죠..?
2. 탈주 문제 (랭크 관련)
이게 뭔 소리냐... 탈주는 아마 많은 분들이 용어를 이해하실거라고 생각해요. 다들 롤은 해보셨을테니 말이죠. 개빡칩니다. 탈주란 쉽게 말해 게임에서 나가는 것인데, 일단 기본적으로 생존자가 탈주를 하면 같은 생존자들에게 피해가 오는 것은 1차원 적인 문제점이고 더 깊게 들어가면 아주 짜증납니다.
<데.바.데>는 랭크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생존자 랭크, 살인마 랭크 두 가지가 따로있는데, 둘 다 20부터 시작하며 랭크가 낮을수록 높은 랭커입니다. 랭크를 올리는 방법은 생존자가 생존에 실패해도, 살인마는 살인에 실패를 해도 게임 안에서 쌓은 포인트가 1만 점이 넘으면 1개의 랭크포인트, 2만점을 채우면 2개의 랭크포인트를 지급받고 일정량의 랭크포인트를 채우면 승급합니다.
▲ 탈출실패, 그러나 1만점을 넘겨서 랭크포인트 획득!
즉, 살아남아도 1만점을 못채우면 랭크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지금 데.바.데(작성일 2016년 6월 30일 기준)는 탈주를 하면 아무런 패널티가 없고, 심지어 랭크포인트도 떨어지지 않습니다.(다시봐도 아무리봐도 개미친 설정...) 시간이 아까워도 점수만 버리고 랭크포인트는 챙긴 격입니다. 이런 사태가 있자 문제가 심각해 졌습니다.
▲ 도망치고 싶어진다... ㄷㄷ
제가 10판 정도 하면서 만난 10명의 살인마 중 절반 이상은 탈주를 하기 시작했네요? 햄벜.
점수는 <데.바.데>에서 돈으로 활용되는데 생존자의 경우 탈출하면 5천점이 들어옵니다. 그런데, 살인마가 탈주를 해버리면 게임이 그 순간 끝나기 때문에 5천점을 잃게 됩니다. 처음 출시됐을 땐 이런 상황에 랭크포인트까지 뺏어가는 경우도 있었는데 지금 랭크포인트는 복구를 했네요.
장점
단점이 너무 장황해서 단점이 너무 코딱지처럼 보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럼에도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라고 말하고 싶어요.
▲대추나무 사람 걸렸네;;;
1. 공포
스릴러, 호러 게임의 중요한 요소는 공포죠. 살인마는 실제 사람이 플레이하는 것임을 알고 있지만, 뭐랄까 그래도 사운드와 분위기로 압도합니다. 오히려 사람이 살인마를 플레이하기 때문에 멍청한 살인마도 있고, 천재적인 살인마도 존재하여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하게 됩니다.
▲ 살인자로 캐비닛에 숨은 생존자를 발견한 순간
2. 텔레파시
보통 FPS 게임은 보이스를 지원하지만, 이 게임의 제작자는 의도적으로 보이스 시스템을 제외했습니다. 때문에 플레이어는 다소 협동을 하는 데 있어 답답함을 느낄 수 있지만,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척척 죽이 잘 맞는 생존자를 만나면 그 어떤 살인마도 척척.. 족족 피하고, 농락할 수 있어요!
▲ (동영상) 친구와 랭겜을 돌려서 만났으나 최악의 상황이...?
지금까지 간단한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설명이었어요. 이런 류의 비슷한 게임으로는 13일의 금요일이라는 게임을 후속작으로 꼽고 있는데, 이 게임도 꼭 해보고 싶네요~ 나중에 뜬다면 방송으로 고고씽! 다음 포스팅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게임 방법과 팁을 드립니다!
+(7월 4일 추가)
ㄴ 패치로 강종 패널티 등이 생겼으며 강종 한 번에 랭크포인트 3 다운!
ㄴ 기타 등등 여러가지 패치가 생겼으며 살인마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저는 주일 제외하고, 평일+토요일 저녁 9시 이후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방송을 하고 있으니 많이 찾아주세요!▼▼
'스팀 / Steam > F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르는 외국인에게 7 Days to die를 선물 받았습니다. (0) | 2017.03.03 |
---|---|
추억의 스팀게임 카스, 카스온라인과는 다른 근황 리뷰 (Counter-Strike : Global Offensive, CS:GO) (0) | 2014.10.13 |